서브 컨텐츠
이수구분 | 과목명(학년) | 과목수(학점수) | |
---|---|---|---|
1학기 | 2학기 | ||
전공기초 | 미적분학및연습1(1) 물리학및실험1(1) 생물학및실험1(1) - 졸업필수과목 화학및실험1(1) |
미적분학및연습2(1) 물리학및실험2(1) 생물학및실험2(1) - 졸업필수과목 화학및실험2(1) |
8(24) |
전공필수 | 생명과학기초연구(2)º 졸업논문(생물학) |
졸업논문(생물학) |
3(1) |
전공선택 | 분류및진화생물학(3)
생물화학(2) 세포생물학(2) 미생물학(2) 세포·독성학실험(3)* 담수생물학(2) 동물생리학(3) 환경독성학(3) 생태학실험(3)* 신경발생학실험(4)* 미생물생태학(4) 바이러스학(4) 발생생물학(3) 행동신경생물학(4) 연구연수1(생물)(3)º 시스템생물학(4) 독립심화학습1(생물학과)(3) 시스템생물학실습(4)* 후성유전학(3) 보전생물학(4) |
유전학(2)
생태학(2) 진화생물학실험(4)* 생물통계학(2) 미생물·면역학실험(3)* 분자생물학(2) 세균학(2) 분자세포생물학(3) 면역학(3) 분자신경생물학(3) 응용미생물학(3) 식물생리학(3) 동물행동학(4) 생물정보학(4) 내분비학(4) 생명공학(4) 연구연수2(생물)º 독립심화학습2(생물학과)(3) 생물정보학실습(4)* 곤충생태학(4) 오믹스생물학(4) |
41(109) |
전공과목은 전공기초, 전공필수, 전공선택 과목군으로 분류되며 생물학 다전공자에게도 적용된다. 통상 이론과목의 경우 3학점, 실험과목(*)의 경우 2학점, 그 외 과목(º)은 1학점을 인정한다.
▶2024학년도 생물학과 교육과정 기준으로 '생명과학기초연구'와 '졸업논문' 과목만 전공필수로 인정함. ("2024학년도 생물학과 교육과정 시행세칙"에 기재되어있는 '[별표1] 교육과정 편성표' 참고 요망)
구분 | 단일전공 |
다전공 |
부전공 |
졸업 학점 |
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 인정학점 |
전공 인정학점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
||||||||
전공 기초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
전공 기초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 |||||
2012이후 |
21 |
13 |
53 | 87 |
21 |
13 |
35 |
69 | 13 |
8 | 21 |
130 |
2024이후 |
21 |
1 |
57 |
79 |
21 |
1 |
32 |
54 |
1 |
20 |
21 |
130 |
① 생물학전공자는 생물학과 시행세칙 제3조-제7조에서 규정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최소 130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학위취득이 가능하다.(단, 2003학년도 이전 입학자는 최소 140학점 이상 취득)
② 생물학전공자(다전공자 포함)는 전공기초과목인 생물학및실험1, 생물학및실험2를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.
③ 생물학전공자는 졸업논문(생물) 과목을 반드시 신청·이수하고 졸업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.
④ 이과대학 졸업능력인증제도에서 요구하는 졸업요건을 졸업 이전에 이수하여야 한다.